바퀴벌레
바퀴벌레 (COCKROACH)
<바퀴벌레의 정보>
곤충강에 속하는 목이다. 전 세계에 약 4,500종이 있고, 그 중 약 30종이 인간의 거주지와 관련이 있으며, 그 중 4종이 해충으로 잘 알려져 있다.
몸은 주로 틈새를 비집고 다니기 편리한 납작한 타원형 모양으로, 날개가 있는 것도 있다.
난태생인 경우도 있으며 난협(ootheca)이라고 하는 알집에서 유충이 대량으로 부화하여 불완전 변태를 하며 성장한다.
바퀴벌레의 종류
<바퀴벌레의 종류>
* 독일바퀴
- 특징 : 몸 길이는 11~14mm 정도로 집에 서식하는 바퀴 중 가장 크기가 작다. 집한성이 강하며 주로 밤에 활동한다. 균열된 벽, 판자 사이 등 좁은 틈에 은신처를 만든다. 21~23℃에서 분포하며 20℃ 이하에서는 활동을 중지함
- 분포 지역 : 한국을 비롯하여 전 지구상에 넓게 분포함
* 미국바퀴 (이질 바퀴)
- 특징 : 몸 길이는 35~43mm 정도로 집에 서식하는 바퀴 중 가장 크기가 크다. 집안의 온도와 습도가 비교적 높은 장소에서 생활함. 잘 날지는 않지만 날개가 발달되어 있어 밤에 불빛을 찾아 날기도 함
- 분포 지역 : 열대 지방과 아열대 지방. 한국, 일본, 타이완, 영국, 미국
* 일본 바퀴 (집 바퀴)
- 특징 : 몸 길이는 20~25mm 정도로 크기는 중형이다. 몸 빛깔은 검은색 또는 검은빛을 띈 갈색이다. 일본에 분포하는 토착종. 저온에 적응하여 세계적으로 가장 북방에 서식하는 바퀴. 암놈 바퀴벌레는 안전하고 숨기 쉬운 틈에 알을 낳으며 자기들 배설물 사이에 알을 숨기기도 함. 습도가 있는 곳에서 많이 발견됨.
- 분포 지역 : 한국, 일본, 중국
* 먹바퀴
- 특징 : 몸 길이 26~30mm로 집 바퀴보다 크고 이질 바퀴보다 작다. 몸빛깔을 짙은 밤색이나 검은색에 가까우며 기름을 바른 것처럼 광택을 낸다. 따뜻하고 습기가 많은 지하실이나 하수관 틈에서 발견됨. 잡식성이며 밤에 활동한다.
- 분포 지역 :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열대지방은 물론 대부분의 온대지방)
바퀴벌레 매개 피해 및 질병
<바퀴벌레 매개 피해 및 질병>
바퀴벌레는 종이, 가죽, 전선, 머리카락, 가래침, 굳은 피, 오물, 동물의 시체 등도 먹으며 사람이 먹는 음식을 오가면서 먹기 때문에 오염된 음식물을 먹은 후에 병균과 병을 전달한다.
바퀴벌레는 살모넬라 식중독의 병균을 내포하고 있으며 살모넬라, 박테리아가 여러 해 동안 바퀴벌레의 배설물 속에 살아 있을 수 있다.
또한 집안에 바퀴벌레의 조각난 몸과 분들은 집먼지의 주요 오소가 되어 바퀴벌레에 대해 알러지를 일으키며, 이러한 바퀴벌레 알러지는 천식을 유발시킬 수 있다.
* 장티푸스
살모넬라 타이피균(Salmonella typhi)에 감염되어 발생하며 발열과 복통 등의 신체 전방에 걸친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살모넬라 타이피균은 장을 통해 몸 속으로 침투한다.
복통, 구토, 설사 또는 변비 등 위장관계 증상이 나타나지만 위장관염의 한 종류라기 보다는 발열 등의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는 전신 질환이다.
발열은 환자의 75% 이상에서 나타나지만 복통은 30~40%에서만 나타난다.
살모넬라 타이피균에 감염된 환자나 보균자의 소변이나 대변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했을 때 감염된다.
몸 속으로 들어온 균의 수가 백만~십억 개 정도이면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 콜레라
콜레라균(Vibrio cholerae)의 감염으로 급성 설사가 유발되어 중증의 탈수가 빠르게 진행되며, 이로 인해 사망에 이를수도 있는 전염성 감염 질환이다.
콜레라균은 분변, 구토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감염되며, 오염된 손으로 음식을 조리하거나 식사할 때에 감염될 수 있다.
날 것이나 덜 익은 해산물이 감염원이 되는 경우도 있다.
감염 증상을 일으키는 데에는 1~100억 개 정도의 많은 수의 균이 필요하지만, 무산증 환자나 위 절제술을 받은 사람은 더 적은 수의 균으로도 감염될 수 있다.
* 파라티푸스
파라티푸스균(Salmonella paratyphi) A, B, C에 감염되어 발생하며 전신의 감염증 또는 위장염의 형태로 나타나는 감염성 질환이다.
장티푸스와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지만 증상의 강도나 경과가 더 가볍고 사망률도 훨씬 낮다.
환자나 보균자(체내에 병원균이 존재하는 사람)의 소변, 대변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먹으면 감염된다.
파라티푸스균은 주로 사람의 몸 속에서 증식하며 살기 때문에 대부분 사람에 의해서 감염되지만 드물게는 가축이 감염원이 되기도 한다.